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자료실 > 유머게시판


게시물을 뉴스나 다른 곳에서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보배드림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글쓰기 수정 삭제 목록
  • 댓글 (86) |
  • 내 댓글 보기 |
  • 레벨 중위 1 신호위반nono 17.02.10 12:49 답글 신고
    비행기는 추진력으로날아오르는게 아닙니다...
    양력이라는 힘으로날아오르는겁니다...
    추진력으로날아오르려면 90도각도에서 가장많이발생하는에너집니다...
    계속보다가 답답해서한마디적습니다..
    답글 8
  • 레벨 준장 20년째초보운전 17.02.10 12:34 답글 신고
    있어봐요
    미 항공... 거시기에 문의해놨으니까..
  • 레벨 중장 블키 17.02.10 12:35 답글 신고
    이게 맞는 말이죠.. 공항 무빙워크에서 가방만 무빙워크에 놓고 자신은 땅밟고 무빙워크 반대방향으로 걷는다 생각하면 가방이 무빙워크쪽으로 갈까요 내가 걷는방향으로 갈까요.. 가방 바퀴가 빨리 돌지언정 내가 가는방향으로 가는겁니다. 가방이 비행기라 생각해보세요.
  • 레벨 소위 3 아스하리 17.02.10 12:38 답글 신고
    그 가방 바퀴의 회전 속도와 무빙워크의 회전 속도가 같지 않습니다
  • 레벨 중장 블키 17.02.10 12:42 신고
    @아스하리 가방의 바퀴속도는 무빙워크 속도+사람이 끄는 속도 겠죠. 결국 가방 바퀴의 마찰력이 관건이지만 바퀴의 원형형태는 이론적으로 마찰력이 제로입니다. 그러니 바퀴가 아무리 빨리 돌아도 사람이 끄는 방향으로 가방은 진행할수 밖엔 없습니다. 만약 바퀴가 아니고 그냥 박스라면 마찰력이 무빙워크 속도와 사람이 끄는 속도 힘에 상쇠하여 사람이 무빙워크속도 대비 진행이 느려지거나 움직이지 않겠죠. 그런데 바퀴입니다. 바퀴는 이론적 마찰력이 제로입니다. 이짜피 위 내용은 이론적으로 생각해야합니다.
  • 레벨 소위 3 아스하리 17.02.10 12:44 답글 신고
    마찰력이고 뭐고 생각할 필요없이 무빙워크 움직이는 속도랑 바퀴 회전 속도가 같으면 무빙워크 밖에서 사람이 볼때 가방은 정지해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 레벨 중장 블키 17.02.10 12:47 신고
    @아스하리 그건 사람이 가방을 잡고 무빙워크 밖에 가만히 서있으면 움직이는 속도 대비 바퀴회전이 같겠죠? 그런데 그 사람이 걷는다면 생각해보셔.. ㅎㅎㅎ 결국 엔진 비행기는 앞으로 전진한다는겁니다. 얼음판 위에서 뒤에서 밀어주면 앞으로 나가듯. 알면서도 어그러 끌려고 노력한다. 진짜.
  • 레벨 대장 발레복입은이모 17.02.10 12:35 답글 신고
    유모 싫어요.....
  • 레벨 중장 블키 17.02.10 12:36 답글 신고
    유모가 스토리가 빵빵해서 ..
  • 레벨 소위 3 두문불출 17.02.10 12:37 답글 신고
    ㅋㅋㅋ
    비행기가 추진력으로 난다구요?

    양력으로 나는 겁니다.

    추진력은 양력을 얻기 충분한 속도를 내기위한 도구일뿐.

    로켓과 비행기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시길..
  • 레벨 소령 1 주님저는불교인데예 17.02.10 12:37 답글 신고
    그추진력의 바퀴동력이 아닌 제트물리력(공기의 힘으로 밀어주는거라 바퀴랑 상관없다니까 답답하네요 ㅋㅋㅋ
  • 레벨 소위 3 아스하리 17.02.10 12:37 답글 신고
    런닝머신이 시속 20km 회전합니다 이때 사람이 20km 속력으로 유모차를 밀어줍니다 ( 제트엔진 공기의 추진력 = 컨베이어 벨트 밖에서 유모차를 밀어주는 추친력 ● 둘다 지면과 아무런 상관관계없음 비행기를 밀어주는 공기의 힘이 지면에 아무런 영향을 못받기 때문 ) 이렇게 되면 유모차가 앞으로 갈까요 제자리에 있을까요 20km 속력으로 앞으로 갑니다
    > 유모차 앞으로 못갑니다 ㅠㅠㅠㅠㅠㅠㅠ
    공대 나오셨어요?? 문과생도 이건 못간다고 할텐데요
  •  삭제된 댓글입니다.
  • 레벨 소장 새하얀날개 17.02.10 12:38 답글 신고
    유식한척 무식함 티내는 겁니다...
    자뻑글입니다.. 물리에서 에너지소모와 실질적한일은 다름니다...
    공기역학을 좀만 이해하셨으면 합니다.
  • 레벨 준장 spirits99 17.02.10 12:38 답글 신고
    그러니까 비행기는 제자리 라는 거잖아.

    제자리에서 무슨 양력을 얻냐고?

    바보인증 그만하고 양력이 뭔지 조금 더 알아보고 와.
  • 레벨 소령 1 주님저는불교인데예 17.02.10 12:52 답글 신고
    비행기가 왜 제자리야 ㅋㅋ 비행기는 앞으로 가지 ㅋㅋ
  • 레벨 준장 spirits99 17.02.10 13:33 신고
    @주님저는불교인데예
    당신이 무슨 말을 하고픈지 이제 알겠음.

    서로 질문에 대한 이해를 잘못하고 있음.
  • 레벨 준장 디티가리 17.02.10 12:39 답글 신고
    이론상으론 맞는 말씀이지만
    과연 그 추진력이 747 이라는 대형 기체를 띄울 수 있는 양력이 생기나요?
    747이나 다른 작은 우리가 타는 비행기가 이륙을 하기 위해서 활주로 있는 이유가
    그거 아닙니까?
  • 레벨 대위 3 와다다다 17.02.10 12:41 답글 신고
    조건에 컨베이어 벨트가 활주로 길이만큼이라는 조건이 왜 있을까요.
    평소에 이륙 잘하던 747 이라면 컨베이어 벨트를 깔아도 잘 이륙 합니다.
  • 레벨 소령 1 주님저는불교인데예 17.02.10 12:39 답글 신고
    아니 실험에서도 이륙했는데 뭔 과학들을 갔다 붙히는지 모르겠군 ㅋㅋ
  •  삭제된 댓글입니다.
  • 레벨 소령 1 주님저는불교인데예 17.02.10 12:43 신고
    @tyoaks https://www.quora.com/Can-a-plane-take-off-from-a-treadmill-runway
  • 레벨 소위 3 아스하리 17.02.10 12:41 답글 신고
    딱 하나만 더 물어봅시다
    러닝머신이 20km/h로 도는데 그 위에 유모차 놓고 20km/h로 밀면 진짜로 유모차가 20km/h의 속도로 앞으로 나간다고 생각하십니까?
  • 레벨 소령 1 주님저는불교인데예 17.02.10 12:43 신고
    @아스하리 네 왜냐구요 런닝머신 밖에서 밀었기 때문입니다 런닝머신 위에서 밀엇다면 쓸모없겟죠 ㅋㅋ
  • 레벨 소위 3 아스하리 17.02.10 12:45 답글 신고
    아니 어디서 밀었건 유모차의 속도가 20 이라메요.
  • 레벨 소령 1 주님저는불교인데예 17.02.10 12:49 신고
    @아스하리 컨베이어 벨트 밖에서 유모차를 밀어주는 추친력 이라고 설명했는데요 ㅋㅋ
  • 레벨 원사 3 민중의방망이 17.02.11 11:29 답글 신고
    저 링크는 전혀 관계없는 내용이네요
  •  삭제된 댓글입니다.
  • 레벨 소위 3 아스하리 17.02.10 12:42 답글 신고
    앞으로 못가니까 못난다고 하는거 아닙니까 지금 ㅠㅠㅠㅠㅠ
  • 레벨 소위 3 아스하리 17.02.10 12:46 답글 신고
    아니 동일한 속도로 돈다잖아요
    바퀴에 추진력이 있고 없고는 상관없다니까요??
    어떤 힘으로 돌건 동일한 속도로 반대로 돈다잖아요
  • 레벨 준장 어린이보호구역 17.02.10 12:49 답글 신고
    비행기가 어떻게 앞으로 가죠?
    비행기 속도가 빨라지면 컨베이어도 같이 빨라진다는 가정이 있는 실험인데..!
  • 레벨 소장 붕어붕가 17.02.10 12:41 답글 신고
    그럼 쪼만한 어선에 전투기 올려놓고 컨베이어 설치해서 날아가나 함 해보세요
    그럼 우리나라도 항공모함 보유국?
    비행기는 양력으로 뜨는겁니다
  • 레벨 소령 1 주님저는불교인데예 17.02.10 12:43 답글 신고
    뭔소리하는거야 ㅋㅋ 이륙에 필요한 거리가 충분해야 날라가죠 ㅋㅋ 컨베이어길이가 이륙에 필요한 거리만큼 있어야하지 ㅋㅋㅋ
  • 레벨 원사 3 민중의방망이 17.02.11 11:30 신고
    @주님저는불교인데예 내용 파악이 전혀 안되보이네요
  •  삭제된 댓글입니다.
  •  삭제된 댓글입니다.
  • 레벨 소령 1 6시내고왕 17.02.10 12:42 답글 신고
    받음각때문에 공기흐름없이는 안뜬다
    는데
  • 레벨 대령 3 어슬픈딸딸이 17.02.10 12:42 답글 신고
    유모차를 20키로 속도로 미는힘을 20이라 가정합시다.
    런닝머신 속도가 0 일땐 20으로 밀면 20키로로 앞으로 가지요?
    그상태 계속 20으로 밀고 있을때 런닝머쉰 속도 20으로 맞추면 어찌 될까요? 바퀴만 돌고 속도는 0 입니다.
  • 레벨 중위 1 없는닉네임 17.02.10 12:48 답글 신고
    비행기 엔진의 추진력은 런닝머신밖에서 미는 힘입니다.
    런닝머신 20으로 맞추고, 런닝머신 밖에서 시속20을 낼수있는 힘으로 밀면, 앞으로 시속20으로 나아가겠죠,
    유모차 바퀴는 시속40으로 갈때의 회전으로 돌아갈테고,.
  • 레벨 대위 3 와다다다 17.02.10 12:42 답글 신고
    아...도대체 비행가가 제자리에 서 있다는 분들 물리법칙에 대한 정의가 궁금하다.
  • 레벨 소장 붕어붕가 17.02.10 12:44 답글 신고
    이 문제의 전제가 컨베이어 설치로 인해
    비행기가 제자리에서 뜨냐 마냐 이야긴데
    비행기가 제자리에 안서있다니요?
  • 레벨 대위 3 와다다다 17.02.10 12:45 신고
    @붕어붕가
    컨베이어 벨트길이가 활주로 길이 만큼이구요.
    비행기가 제자리에 고정이라는 조건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 레벨 소령 1 주님저는불교인데예 17.02.10 12:44 답글 신고
    https://www.quora.com/Can-a-plane-take-off-from-a-treadmill-runway

    요게 실험 내용입니다 양력 양력 하시는분들 당연히 양력이 생겨야 비행기가 이륙하죠 그만큼 컨베이어의 길이가 비행기 이륙에 필요한 거리만큼 되야하는거고 바퀴는 아무런 영향도 받지 않은채 비행기가 제트엔진의 공기힘으로 활주하고 이륙합니다
  • 레벨 소장 붕어붕가 17.02.10 12:45 답글 신고
    그거 저도 봤어요 프로펠러기는 이륙거리가 짧고
    문제처럼 완벽한 상황이 아니네요
    비행기가 제자리서 이륙하냐 마냐 문제입니다
  • 레벨 대위 3 와다다다 17.02.10 12:46 신고
    @붕어붕가
    왜 비행가가 제자리라는 조건을 세우셨나요.
  • 레벨 소령 1 주님저는불교인데예 17.02.10 12:47 신고
    @붕어붕가 뭔소리에요 제자리 이륙이 어찌됩니까 ??? 제자리 이륙은 할수없습니다 비행기와 컨베이어의 속도가 같다고 해도 비행기는 컨베이어 속도랑 상관없이 활주후에 이륙한다는거죠 ㅋㅋ
  • 레벨 하사 3 자네실수라네 17.02.10 12:46 답글 신고
    아니 런닝머신이 20키로로 뒤로 밀리는데 유모차를 시속 20키로로 앞으로 민다고 유모차가 앞으로 간다고요?
    이 무슨 공대생 코스프레 입니까?
  • 레벨 소령 1 주님저는불교인데예 17.02.10 12:48 답글 신고
    네 런닝마신 밖에서 미는힘이기 때문에 가만히 손을대고 그자리 유지하는게 0 이라고 쳐야지죠 ㅋㅋ
  •  삭제된 댓글입니다.
  • 레벨 중위 1 없는닉네임 17.02.10 12:50 답글 신고
    컨베이어위에서 자동차랑은 다릅니다.
  • 레벨 하사 3 자네실수라네 17.02.10 13:06 신고
    @없는닉네임 후륜차 뒷바퀴 컨베어벨트 밖에 두고 전륜은 컨베이어 안에 두는거랑 같은 조건입니다
    애초에 조건 자체가 맞질 않습니다
  • 레벨 소령 1 주님저는불교인데예 17.02.10 12:50 답글 신고
    저공고 나왓고 공대 근처도 안가봣지만 이건 기본같은데요 ㅋㅋ
  • 레벨 중위 1 신호위반nono 17.02.10 12:49 답글 신고
    비행기는 추진력으로날아오르는게 아닙니다...
    양력이라는 힘으로날아오르는겁니다...
    추진력으로날아오르려면 90도각도에서 가장많이발생하는에너집니다...
    계속보다가 답답해서한마디적습니다..
  • 레벨 소령 1 주님저는불교인데예 17.02.10 12:50 답글 신고
    그니까 양력이 생길라면 추진력이 필요하죠 ㅋㅋㅋ 비행기의 추진력은 바퀴의 동력과 상관없이 양력에 필요한 거리만큼 활주후에 이륙한다고요 ㅋㅋ
  • 레벨 중위 1 신호위반nono 17.02.10 12:52 신고
    @주님저는불교인데예
    양력은 추진력으로생기는게 아닙니다...
    전진하는 물체와 공기의 저항으로생기는겁니다...
    추진력으로 뜨는방법은 로켁트처럼 90도발사때나가능합니다...
  • 레벨 대위 2 해군5해역사 17.02.10 12:54 신고
    @주님저는불교인데예 바퀴의 동력과 상관이 없지만 바퀴가 지면에 붙어 있는 한 콘베어어와 바퀴와의 마찰에 의한 저항력을 이겨내야 함.
    그 저항력을 이겨내는게 콘베어 속도보다 더 빠르게 추진시켜줄 추력임.
    콘베어와 바퀴 사이의 마찰계수가 0이라면 날아가겠지만 마찰계수가 0이 나올 수가 없기에 추력이 약하면 날아갈 수가 없음.
  •  삭제된 댓글입니다.
  • 레벨 대위 2 해군5해역사 17.02.10 13:02 신고
    @밟아드림a 추력이 있어야 양력도 생기죠. 바퀴가 뱅기에 붙어서 벨트와 접촉하는 한 마찰계수 때문에 못나가요.
  • 레벨 상사 2 나바갈 17.02.11 10:01 답글 신고
    몹시답답
    양력을 만들기위해서 앞으로 가야되고
    앞으로 갈려면 추진력이 있어여되고...
  • 레벨 소장 시로a 17.02.10 12:50 답글 신고
    비행기 엔진의 추진력이 월등히 높다면야 앞으로 나아가는 양력은 무시해도 되겠지만..그게 아니라면(똑같다면) 양력을 받아야지요..

    양력이란것이 맞바람을 맞으며 일으키는건데 제자리에서 맞바람을 맞을수있나요..?.

    선풍기틀어놓고 같은 바람을 앞에서 쏘면 바람이 안나오는것과 같은 이치인데..저는 날수없다고 봅니다..

    앞에서 추력만큼의 바람을 불어주면 가능하겠네요...

    수직이착륙비행기의 경우는 밑으로 바람을쏘는 양력에 뜨는데 밑에서 바람을 흡수해버리면 그거도 못뜨겠지요?.

    바퀴는 동력이 없는건 똑같습니다..
  • 레벨 대위 2 해군5해역사 17.02.10 12:50 답글 신고
    https://www.youtube.com/watch?time_continue=181&v=4owlyCOzDiE

    이 동영상을 보면 비행기의 추력으로 날으려면 콘베어 속도보다 추력이 더 쎄야 날아감.
    이 동영상에서 추력으로 바퀴에 동력을 주는게 아니라면 비행기는 트레드밀 위에서 제자리에 있을 수가 없음.
    추력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트레드밀에서 조금씩이라도 앞으로 나아가야만 함.
  • 레벨 중위 1 없는닉네임 17.02.10 12:52 답글 신고
    쉽게 생각하면
    물 위에 이착륙하는 비행기가,
    상류방향으로 이륙할수있냐 이거아닙니까.
  •  삭제된 댓글입니다.
  • 레벨 중위 1 없는닉네임 17.02.10 12:55 답글 신고
    맞습니다. 바퀴가 돌아갈때 저항때문에,
    실제 실험을 할수있다면,
    같은길이의 활주로보다 더 길게 활주로가 있어야할겁니다.
  • 레벨 소장 붕어붕가 17.02.10 12:54 답글 신고
    아따 답답들하네
    컨베이어때문에 비행기 속도가 0이라고
    아무리 제트엔진이 불을 뿜어서 추진력을 내도 컨베이어가 같이 돌아서
    비행기는 제자리라고요
  • 레벨 대위 3 와다다다 17.02.10 12:58 답글 신고
    제자리가 될수가 없다고요.
  • 레벨 원사 3 얼룩토끼 17.02.11 12:29 신고
    @와다다다
    제자리지 왜 제자리가 될수없나요?
    바보임? 런닝 머신에서 존나게뛰어봐라 제자리지
  • 레벨 중위 1 없는닉네임 17.02.10 12:54 답글 신고
    이거 달면서 작대기 두개됐네.
  • 레벨 소장 붕어붕가 17.02.10 12:54 답글 신고
    축하합니다
    보배는 학습싸이트입니다
  • 레벨 중사 3 rinoaj 17.02.10 13:06 답글 신고
    유모차를 안밀리도록 버티고있는 힘은 왜 빼시는겁니까?
    20의 힘을 준게 아니라 버티는힘 + 20의 힘을 준거니 당연히 유모차는 앞으로 나가죠 ;;
  • 레벨 중위 1 없는닉네임 17.02.10 13:08 답글 신고
    가벼운 비행기일수록, 원래활주로길이랑 비슷하게 이륙할테고, 무거운비행기일수록 더 긴 활주로가 필요할겁니다.
  • 레벨 병장 aspire06 17.02.10 13:14 답글 신고
    참 재밌네요~별 용어들을 다 쓰면서 이거네 저거네하는게.....처음 문제를 제시한사람은 제가보기에 비행기바퀴에

    구동력이 있다는 가정을했고 비행기가 양력으로 뜨는걸 모르고 질문을 한거 같습니다. 비행기바퀴는 동력이

    전혀 없습니다. 위에서 나왔듯이 유모차바퀴같은 그런거져(킥보드, 마트에있는 카트, 뭐 여러가지가 더 있습니다)

    그래서 제트엔진으로 추진력을 얻어 앞으로 빠르게가야 바람저항을 날개가받고 양력이 생기겠져? 제자리에서 뜬다...

    이건말이안돼는검니다...벨트가 바람을 만들어주는것도아니고. 벨트가 활주로만큼길다고 가정하고 비행기가

    제트엔진힘으로 동체를 밀고(바퀴는 그냥 헛도는 것이니 동체가앞으로가면 그만큼 더 빨리 헛돌겠져? 바퀴 베어링

    마찰때문에 아주약간의 저항이 생기겠지만 무시하고....)

    추진력을 얻은동체는 빠르게 전진하면서 공기저항을받고 양력으로 날져...이제 맞는거아닌가요?

    그리고 런닝머신...이것도 참 재밌는답글 많아요...그냥 해보세요. 헬스장가서 킥보드나 유모차나 하나가지고 올려서

    해보세요. 그리고 바깥에서 서서 밀어보세요. 앞으로 안가는지...위에서 말씀드렸던 바퀴베어링저항 무시하고~

    그 손으로 미는힘을 비행기는 제트엔진에서 대신해준다 생각하세요.
  • 레벨 이등병 오리는야옹 17.02.11 09:29 답글 신고
    유모차가 뒤로 안밀리게 잡고있는 힘 자체가 추진력입니다.
  • 레벨 원사 3 민중의방망이 17.02.11 11:19 답글 신고
    유모차를 밀때 컨베어 속도도 올려야 공평하지않나요?
    왜 유모차만 플러스 힘을 더받죠?
  • 레벨 하사 2 흐으음 17.02.11 12:04 답글 신고
    첫문장이 다 해결해주네요. 컨베이어벨트 따위로 제자리에서 무조건 이륙시킬수 있으면 항공모함에 수천만달러씩 발라가면서 캐터펄트를 달리가 없지요 ㅎㅎㅎ
  • 레벨 중위 2 머리는장식이아니다 17.02.11 12:06 답글 신고
    뭐 이딴게 논란거리고
    심심하면
    보잉사 취직해
  • 레벨 하사 3 형상기억판금 17.02.11 12:10 답글 신고
    실험은 컨베이어 벨트가 아니라 천쪼가리이고 비행기의 바퀴가 지면에 중력을 전달하고 있으므로 컨베이어의 조건이 확립 안됩니다.
  • 레벨 원사 3 해운대촌놈 17.02.11 12:12 답글 신고
    유모차에 동력장치가 있던 사람이 밀던 상관없고
    어쨋든 컨베이어벨트가 반대방향으로 같은속도를 내면 결론은 제자리아님?
    고로 제자리인 상태에서는 공기저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양력또한 발생할수 없는거 아닙니까?
  • 레벨 중위 3 둘둥이 17.02.11 13:11 답글 신고
    벨트속력이 아무리빨라도 바퀴는 허당입니다 이유는 밸트동력이 비행기에 "전달"되지가 않아요 비행기는 아무렇지도 않게 그냥 앞으로 나아가지요 여기서많은분들이 착각하시는게
    밸트와 비행기와의 속도를 맞출수있다고 믿는게 함정입니다 맞출수가없죠 자동차면 몰라도요
  • 레벨 원사 3 얼룩토끼 17.02.11 12:30 답글 신고
    이야 무식한놈이 신념이강하면 제일 무섭다더니
    딱그꼴인듯
    양력의 기본 개념을 알면 바로나오지 절대못뜬다고
  • 레벨 중위 3 둘둥이 17.02.11 12:35 답글 신고
    자 정리해드립니다 복잡한용어는 필요없고 처음스타트시 제자리인시점은 있어요 그렇지만 비행기는 앞으로 가게되어있어요 예를들어 컨베이어밸트 바깥쪽에서 사람이 유모차를 밀며 뛰면 유모차가 가만히 있나요? 사람이뛰는속도에 맞춰 밸트속력과는 별개로 앞으로가겠죠? 프로펠러든제트엔진이든 공기를 밀어내는 힘이기때문에 지면의 밸트와는 상관없습니다 컨베이어밸트 속도와 비행기의 바퀴의 마찰계수땜에 지면에서 이륙할때보단 조금더 연료와시간이늘겠지만요 아마 기본활주로길이보다 더긴 컨베이어밸트가 있어야겠죠
    그리고 덧붙여 쓰자면 양력은 공기흐름만 있으면탑니다 바닷가의 갈매기나 연날리는걸 상상해보세요 윗분양력의기본개념을 말씀하시며 절대못뜬다고하시는데 음력?을 가르쳐주고싶네요 ㅎㅎ
  • 레벨 대위 3 JTBC뉴스룸 17.02.11 13:07 답글 신고
    컨베이어 속도 + 이륙가능한 추진력 보다 비행기 추진력이 더 커야 나는거 아님?? 더 힘들게 나는걸 왜하지... 맞바람이 시속 500키로 불면 제자리에서도 뜨겟지 ㅋㄷ
  • 레벨 중위 3 둘둥이 17.02.11 13:18 신고
    @JTBC뉴스룸 비행기엔진가동되는 순간부터는 밸트가 아무리빨라도 하늘과 땅입니다 서로 남남이죠
  • 레벨 대위 3 JTBC뉴스룸 17.02.11 13:49 답글 신고
    그렇다면 바퀴랑 컨베어 사이는 마찰력이 없다는 거네요... 그리 무거운 비행기가 누르고 있는데도요... 유모차에 5키로 아이가 타던 100키로짜리 돼지가 타던 앞으로 가는데 똑같은 힘이 들까요?? 어떻게 해서든 이륙가능한 만큼 맞바람을 맞아야한다.그건 분명한 사실일듯
  • 레벨 중사 1 707739 17.02.11 13:01 답글 신고
    이런 원리면 뭐하러 항공모함에 활주로 만듬 활주로 없애고 함재기 더 올리는게 이득아님 그리고 실험 영상도 프로펠러가 날개 뒤쪽에 있고 모양도 여객기 엔진처럼 원통속에 있는걸로 바꿔서 날개에 유체의 흐름이 생기지 않게 해줘야 한다고 생각됨
  • 레벨 소령 1 팡이아빠 17.02.11 13:26 답글 신고
    스펀지에 물어보라고 그만해쫌! ㅋㅋ
  • 레벨 훈련병 아키송 17.02.11 14:08 답글 신고
    아 답답...비행기바퀴 800속도는 어디서 나옵니까? 제트엔진에서 나오죠? 그외에 다른 외력은 없는게 맞죠?
    유모차 얘기했는데 유모차 바퀴 20km/h는 내가 20으로 뛰니까 생기는 겁니다. 제트엔진처럼.. 그렇다고 유모차가 러닝머신 밖으로 나가진 안잖아요...
    항공모함이 역으로 가는데도 이륙할수 있는건 이미 비행기에 항공모함의 관성이 먹어서
    바닥과 바퀴에 작용하는 벡터의 힘은 상쇄되고 0부터 다시 마찰력에 기인한 추력을 넣는것 입니다.

    어쨌든 컨베이어나 러닝머신이나 절대좌표적 움직임이 없으면 공기저항도 없고 양력도 발생 안합니다. 글쓰신분 러닝머신위에서 팔벌리면 공기저항이 느껴집니까?????

덧글입력

0/2000

글쓰기
검색 맨위로 내가쓴글/댓글보기
공지사항
t서비스전체보기
사이버매장
국산차매장
수입차매장
튜닝카매장
승용차매장
스포츠카매장
RV/SUV매장
밴/승합차매장
오토갤러리매장
국산중고차
전체차량
인기차량
확인차량
특수/특장차
국산차매장
중고차시세
차종별검색
수입중고차
전체차량
인기차량
확인차량
특수/특장차
수입차매장
중고차시세
차종별검색
내차팔기
사이버매물등록
국산차등록
수입차등록
매물등록권 구입
게시판
베스트글
자유게시판
보배드림 이야기
시승기
자료실
내차사진
자동차동영상
자동차사진/동영상
레이싱모델
주요서비스
오토바이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