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 지나간 뉴스이긴 하지만
작년 12월 중순경에 나온 뉴스입니다.
인도 정부가 k9 자주포 100문을 추가도입키로 예산 승인을 했다고 하죠.
얼마나 만족스러웠으면 100문을 추가로 도입할까요?
이걸 중국 국경 분쟁 지역에 집중적으로 배치한다고 하죠.
인도에서 운용 중인 k9자주포는 현지에서는 바지라 자주포라고 합니다.
인도 현지에서 조립 생산됩니다.
애초 한화 디펜스에서 기술이전을 포함한 수출계약을 인도 정부와 맺었습니다.
그리고 합작형태의 인도 회사에서 k9자주포를 생산하는 것이고요.
물론 적지 않은 부품이 인도에서 생산되기는 하나 우리나라에서 수출하는 부품이 다수 차지하고요
자주포 설계, 부품 등등은 한화에서 만든 k9자주포 100% 맞습니다.
더불어
인도는 전투기도 도입을 하는데 미국에서 도입을 하지 않고 러시아에서 Su- 30 MKI 를 12대 도입한다고 하죠.
k9자주포 도입은 잘 했으나 성능 떨어지는 SU- 30은 왜 도입하는지 몰것네요
아래 사진은 인도군이 운용 중인 K9 바지라 자주포
아래는 상대적으로 적은 k9자주포를 가지고 3배 넘는 숫자의 중국 자주포를 박살냈다고 하는 유투브
정말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으나 인도군은 만족해한다고...
조금만 생각해보면 알수 잇는게
파키스탄?인가하고 분쟁할때
k9 와 중국의 자주포와 붙었는데..
파키스탄은 그냥 가만히 있고
인도만 입 벌린체 싱글 벙글...
그럼 뻔하죠
아쉬운건 산때문에 포격 사각지대가 생긴다는거 ^^?
이쪽저쪽 마찬가지라 대포병 사격 피하기가 좋음
그래서 짧은시간에 많이 쏘고 튀는쪽이 유리함..
한발쏘고 춤추는 중국자주포는 시작하기도 전에 싸움에서 진거임 ㅎ
기술수출이라고 하셨는데, 단순한 기술수출은 아닐겁니다.
물론 k9을 현지에서 생산하면 인도방산업체의 기술력이 올라가는건 확실합니다만
그렇다고 핵심적인 부품이나 기술은 한화디펜스에서 보유하고 있겠죠.
인도가 추가주문하면 그만큼 한화에서 이득도 잇고 그외 여럿 우리 방산업체들한테 이득이 있죠.
로얄티 같은거 더 자세히 알아봐야 할거 같습니다.
로얄티를 받는다면 항목별 로얄티인지 총괄적인 로얄티인지 말이죠.
기술준들 받을만한 기술수준이 안됨니다..
0/200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