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자료실 > 유머게시판


게시물을 뉴스나 다른 곳에서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보배드림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글쓰기 수정 삭제 목록
  • 댓글 (36) |
  • 내 댓글 보기 |
  • 레벨 대위 3 열정의종결자 16.10.13 16:56 답글 신고
    욕배달 왓습니다~~

    오래사세요
  • 레벨 상사 2 미련곰텡이 16.10.13 16:58 답글 신고
    넵.. 앞으로 잘 하라는 채찍으로 알고,
    개선될 수 있도록 잘 하도록 하겠습니다.
  • 레벨 대위 3 열정의종결자 16.10.13 17:00 신고
    @미련곰텡이 싸이렌 울리면 일단 믿습니다. 나중에 저 누우면 좀 태워주세요;;
  • 레벨 상사 2 미련곰텡이 16.10.13 17:04 답글 신고
    넵.. 감사합니다. 그 믿음에 배신하지 않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레벨 훈련병 원펀치쓰리강냉이 16.10.13 16:57 답글 신고
    환자없이 싸이렌 울리고
    다니시나요?
  • 레벨 상사 2 미련곰텡이 16.10.13 16:59 답글 신고
    솔직히 말씀드리면, 초짜때는 그랬습니다.
    지금은 출동(이송)중이 아니면 울리지 않습니다.
    이송중일때도 경증환자 등은 경광드만 키고 운행합니다.

    요즘은 제가 시끄러워서 싸이렌 웬만하면 잘 안킵니다.
  • 레벨 준장 마법봉 16.10.13 16:57 답글 신고
    질문은없고 정직한 드라이빙 부탁드립니다ㅎ
  • 레벨 상사 2 미련곰텡이 16.10.13 17:00 답글 신고
    넵. 저도 그렇고 직원교육도 똑바로 시키도록 하겠습니다.
  • 레벨 하사 3 헨젤과그랬때 16.10.13 16:57 답글 신고
    사설구급차도 신호위반단속 대상인가요?
  • 레벨 상사 2 미련곰텡이 16.10.13 17:01 답글 신고
    본래의 목적(환자이송 등)이 아니라면 당연히 신호위반을 포함해서 모든 교통위반에 단속됩니다.

    단, 본래의 목적(환자이송 등)으로 사용되고 있을 경우에는 특례가 적용되며,
    이송중 무인카메라 등에 적발이 되면, 환자이송중이었음을 자료를 통해 입증
    하여야 합니다.
  • 레벨 원사 3 74범띠 16.10.13 17:03 답글 신고
    예전에 제친구도 사설구급차 운전해서 많이 들어서 좀 압니다..ㅋ
  • 레벨 상사 2 미련곰텡이 16.10.13 17:05 답글 신고
    네. 잘 아시는 분이시군요...
  • 레벨 대위 3 구사나기교 16.10.13 17:03 답글 신고
    코스비 ??
  • 레벨 상사 2 미련곰텡이 16.10.13 17:06 답글 신고
    코스비는.. 제가 알기론 부산과 경북 안동 지역에서 영업중인 업체로 알고 있습니다.
    전 아닙니다..^^
  • 레벨 중사 3 혼용무도 16.10.13 17:04 답글 신고
    이용시 이동비용은 얼마나 드나요?
  • 레벨 상사 2 미련곰텡이 16.10.13 17:07 답글 신고
    특수구급차 : 10Km 까지 75,000원 이후 Km당 1,300원
    일반구급차 : 10Km까지 30,000원 이후 Km당 1,000원

    심야(00:00 ~ 04:00까지는 각각 20% 가산) 입니다.
  • 레벨 상병 129emt 16.10.13 17:12 답글 신고
    지금 가지고 계신 마음으로 변함없이 일해주세요~
  • 레벨 상사 2 미련곰텡이 16.10.13 17:14 답글 신고
    아이디를 뵈니.. 구조사선생님 이신가요?
    아무튼, 같이 노력해 주시고 도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레벨 원수 오렌지색이호박색 16.10.13 17:28 답글 신고
    요즘도 장례식장서 시체 한구당 얼마씩 주나요?
    작년에 뉴스 나오던데요.
  • 레벨 상사 2 미련곰텡이 16.10.13 17:34 답글 신고
    제가 답변드리긴 애매한 문제긴 합니다만, 수도권은 그런 나쁜 관행은 없어졌다고 보셔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다만, 지방 구석구석 까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 레벨 원수 오렌지색이호박색 16.10.13 17:37 답글 신고
    요즘도 렉카들이 무전때려주면 사고현장서 사람 싣고 그러나요?
  • 레벨 상사 2 미련곰텡이 16.10.13 17:42 답글 신고
    위에 답이랑 마찬가지로 수도권은 그런 나쁜 관행은 모두 없어졌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다만, 지방 소도시 까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 레벨 원수 오렌지색이호박색 16.10.13 17:37 답글 신고
    교통사고 부상자들 병원 델구가면 병원서 시트세척비라고 주는거 요즘도 주나요?
    예전엔 얼마나 주고 그랬나요?
  • 레벨 상사 2 미련곰텡이 16.10.13 17:43 답글 신고
    요즘은 그런것 없어졌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레벨 원수 오렌지색이호박색 16.10.13 17:38 답글 신고
    중상자 보다 시체가 돈 더준다고 중상자 싣고 여기저기 헤메면서 시간끌기
    했다는 소문을 들은적이 있는데 업꼐에 계시면 그런 소문 같은거 들으시나요?
  • 레벨 상사 2 미련곰텡이 16.10.13 17:46 답글 신고
    흠. 그런 소문은 정말로 호랑이 담배피던 시절에나 있을법한 얘기 같습니다..^^
    정말로, 카더라 통신의 대표적인 예인것 같네요...^^
  • 레벨 원수 오렌지색이호박색 16.10.13 17:39 답글 신고
    응급차 사고시 운행 정지하고 119 부르는게 원칙이라고 하던데
    예전 앞차 사고후 안비켜주니까 앞차 운전자 끌고 문열어서 응급환자인 어린이
    확인시켜준 것은 문제 없는 행동인가요?
  • 레벨 상사 2 미련곰텡이 16.10.13 17:49 답글 신고
    말씀하신 그런 원칙은 없고, 다만 사고 유형별로 다른 것 같습니다.
    우리업체 같은 경우는 경미한 사고의 경우 사고 상대방과 회사를 연결시켜 준 후, 이송을 계속하고,
    큰 사고의 경우 회사에 추가배차와 119를 동시에 요청합니다. 빠르게 도착하는 차가 환자를
    계속 이송할 수 있도록요... (하지만 설명하신 상황은 아직까지 접해본 적은 없습니다.)
  • 레벨 상사 2 미련곰텡이 16.10.13 17:51 답글 신고
    아~~ 추가로, 말씀하신 어린이환자의 경우는, 제가 법적인 문제까지는 맞다 틀리다고 말씀 드릴 순
    없지만, 사고가 경미했기에 이송을 계속한 경우가 아닐런지요?

    그리고, 상대방 운전자를 끌고와서 환자를 확인 시켜준 것은... 글쎄요... 저도 그 기사를 본 기억은
    있지만 그런 상황까지 벌어졌었나요?
  • 레벨 원수 오렌지색이호박색 16.10.13 17:40 답글 신고
    만약 응급차랑 사고가 났는데 그냥 비키라고 해서 비켜주고
    나중에 업체에 전화하면 그 기사 그만두었다고 할 경우
    사고 보상 못받는 경우는 안생기나요?
  • 레벨 상사 2 미련곰텡이 16.10.13 17:54 답글 신고
    기사의 퇴직여부와 관계없이 보상을 피해갈 순 없습니다. 업주(사용자)의 책임도 있기 때문입니다.

    예전, 비슷한 경험이 있었는데, 그 운전자가 너무 급한 환자를 모시고 가던 중
    경미한 사고가 발생했고, 구급차는 계속 진행을 하면서 그 구급차 기사가 사무실에
    보고하여, 사무실에서는 관할 경찰서에 연락해서 사고 상대방과 연결되어 보험처리를
    해줬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 레벨 소위 1호봉 힘들엉 16.10.13 18:16 답글 신고
    1.구굽차 운전하려면 기본적인 의료지식은 있어야하나요?
    예를들어 응급조치요령이라든지..

    2.환자이송중 환자가 사망하면 책임있나요?
  • 레벨 상사 2 미련곰텡이 16.10.13 18:38 답글 신고
    1. 안타깝게도 운전자에 대한 기준은 없습니다. (운전면허 1종보통 이상)
    다만, 최근 몇년전부터 업체 자체적으로(응급구조사 협회를 통한) 또는 정부에서 시행하는
    응급처치 교육을 운전자에게 받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와는 별도로, 응급환자를 이송할 경우에는 법적으로 응급구조사 또는 간호사가 동승하도록
    법률로 규정되어 있으며, 이를 어길시에는 영업정지에 처하도록 규정되어 있습니다.

    2. 환자이송중 환자의 사망은 인과관계에 따라 다릅니다. 사망의 원인이 이송업체에 있다면
    당연히 책임을 면할 순 없구요.... (예를 들면, 응급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위 전문인력을 탑승시키지
    않았거나, 또는 구급차의 의료장비에 문제가 있는 경우 등)
    환자의 상태가 이미 가망이 없을 정도로 어려운 경우에 최선을 다 했음에도 사망에 이르게 된다면
    이송업체에 책임을 물을 순 없습니다.
  • 레벨 소위 1호봉 힘들엉 16.10.14 12:37 신고
    @미련곰텡이 답변감사합니다
    안전운전!!
  • 레벨 원수 오렌지색이호박색 16.10.13 18:18 답글 신고
    응급 이송시 사고가 발생한 경우
    그리고 다른 구급차가 올 시간이 부족한 경우
    면허증이나 차량 등록증등을 상대에게 주고 운행을 계속하는 것은 가능 한가요?
    아님 명함만 주어도 충분한가요.
    피해자는 본인 확인이 필요한 다른 조치가 있어야 믿을수 있을텐데요.
  • 레벨 상사 2 미련곰텡이 16.10.13 18:40 답글 신고
    만약 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여 법적인 문제로 까지 커진다면, 판사님의 판단은
    어떠실지는 모르겠습니다만,

    환자가 응급상황임을 전제한다면, 저 같은 경우는 경미한 사고의 경우 사무실에 보고하여 사무실에서
    후속조치를 취하도록 하면서, 환자이송을 계속하라고 하고 있습니다.
    다만, 차량이 운행할 수 없을정도의 큰 사고라면 위에 답변드린 것처럼, 추가배차와 함께 119의 도움을
    요청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당연히 운전자가 사고현장에 있는 경우이므로, 회사에서는 추가배차
    119 요청, 그리고 사고처리 까지 함께 업무를 진행하게 됩니다.

덧글입력

0/2000

글쓰기
검색 맨위로 내가쓴글/댓글보기
공지사항
t서비스전체보기
사이버매장
국산차매장
수입차매장
튜닝카매장
승용차매장
스포츠카매장
RV/SUV매장
밴/승합차매장
오토갤러리매장
국산중고차
전체차량
인기차량
확인차량
특수/특장차
국산차매장
중고차시세
차종별검색
수입중고차
전체차량
인기차량
확인차량
특수/특장차
수입차매장
중고차시세
차종별검색
내차팔기
사이버매물등록
국산차등록
수입차등록
매물등록권 구입
게시판
베스트글
자유게시판
보배드림 이야기
시승기
자료실
내차사진
자동차동영상
자동차사진/동영상
레이싱모델
주요서비스
오토바이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