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게시물을 뉴스나 다른 곳에서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보배드림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글쓰기 수정 삭제 목록
  • 댓글 (19) |
  • 내 댓글 보기 |
  • 레벨 대위 1 참외꿈 06/21 13:31 답글 신고
    디젤은 트럭

    가솔린은 승용

    이상입니다
  • 레벨 대위 1 kimgun 06/21 13:26 답글 신고
    점화플러그대신 예열플러그가 달려있내요..
    디젤연료는 볼꽃에 직접 발화하지 않습니다..
    예열플러그로 미리 가열한 상태에서 연료를 분사합니다.
  • 레벨 중사 3 라꾸디젤수동 06/21 13:35 답글 신고
    ^^ 대충 이해는가는데...ㅠㅠ 아직 배가고프네요~
  • 레벨 원수 XLR8 06/21 13:38 답글 신고
    저도 전공자는 아니라서 잘은 모르지만 일정 압축비 이상 올라가면 연료가 압력에 의해 폭발하게 되어있고 또 연료별로 그 폭발점의 환경이 다를겁니다.. 휘발유 엔진도 디젤처럼 자연압축착화(HCCI, 약자는 음.. 호모지너스 컴프레션 어쩌고 저쩌고ㅋㅋ) 엔진을 만들 수는 있는데 아직 불규칙한 노킹현상 잡는데 심혈을 기울이고 있구요..
  • 레벨 중사 3 라꾸디젤수동 06/21 13:38 답글 신고
    감사합니다.
  • 레벨 대위 1 쏘나타골드 06/21 13:34 답글 신고
    공기만 흡입하여 압축한 상태에서 디젤을 분사하면 저절로 폭발합니다
  • 레벨 중사 3 라꾸디젤수동 06/21 13:38 답글 신고
    감사합니다.
  • 레벨 대위 1 kimgun 06/21 13:53 답글 신고
    그냥.. 전기난로 빨갛게 달궈진 상태에서 디젤을 뿌린다고 생각하세요..
    예열플러그가 600도 이상 가열되어집니다.. 거기에 연료+공기를 분사...
    그래서 추운겨울에 디젤시동이 가솔린 보다 불리합니다.
  • 레벨 대령 3 이럴럴수가 06/21 13:48 답글 신고
    디젤에 라이터 들이대 보시면 알듯.. 열받을 때까지 불안붙습니다..
  • 레벨 하사 1 을룡타 06/21 13:58 답글 신고
    휘발유는 압축비가 10:1 정도고 디젤은 25:1인가 이정도 됩니다 공기를 많은양을 급격하게 압축을시키면 온도역시 상승하게되는데 압축된 공기안에다가 연료를 분사하면 실린더 안의 연료가 폭발하게되는것 입니다 그래서 디젤엔진은 압축착화기관이라고도 하고요
  • 레벨 훈련병 섹쉬타임 06/21 14:05 답글 신고
    인화점과 발화점에 대해서 알아보시길.
  • 레벨 원사 3 란팡 06/21 14:17 답글 신고
    디젤은 압축발화...즉 점화플러그 불꽃이 아닌 자체발화라고 할까요..그래서 가솔린과 디젤 엔진 내구성이 차이가 크죠 일반적으로 디젤이 내구성이 강하죠..디젤은 직접분사를 해서 압축발화를 기본으로 하기때문에 고출력이 나오는거죠...요즘은 가솔린도 직분사엔진이 대세이고...터보차져,수퍼차져등등 때문에 터보디젤에 꿀리지 않는 고마력,고출력이 가능하죠 연비도 좋아지고...터보디젤의 고토크를 넘어서진 못하지만..
  • 레벨 원수 XLR8 06/21 14:33 답글 신고
    요즘 봇물터지듯 등장하는 가솔린 과급 엔진들은 직분사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고 봅니다. 배기가스 온도가 높으면 이산화탄소였나 활성산소였나.. 여튼 그게 많아진다는데 직분사의 경우 배기가스 온도를 낮춰 그만큼 과급기 장착에 용이하게 되죠.. 일정 출력에 물리적으로 반드시 발생하는 열 대처에도 용이하게 되구요 ㅎㅎ
  • 레벨 원사 3 란팡 06/21 14:28 답글 신고
    가솔린하고 비교하면 동급.동배기량일때는 좀 비싸죠 더 무겁고
  • 레벨 소위 2 bB이크 06/21 14:52 답글 신고
    간단하게 가솔린엔진은 경우 점화플러그가 불꽃을 발생시켜서 실린더 내부에 들어온 연료를 발화시켜서 폭발한다고 생각하시면 될꺼 같구요..
    디젤엔진의 경우 압축된 실린더 내부에 인젝터를 통해 강력하게 연료를 미립자로 분사시켜서 자체발화를 시킨다고 생각하면 될꺼 같습니다. 그래서 디젤엔진의 경우 예열플러그를 통해 실린더 내부의 온도를 높여주기만 하고 따로 점화플러그처럼 불꽃을 발생시키지 않는 거구요..
  • 레벨 소위 2 bB이크 06/21 15:04 답글 신고
    또한 그러면 여기서 궁금증이 생기는것은 왜 디젤은 불꽃을 발생시켜서 발화시키지 않고 연료를 직접 분사해서 자체발화를 시킬까 하는 궁금증이 생길텐데요.. 인화점과 발화점의 차이때문에 그렇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인화점이라는건 불꽃이 연료와 닿았을 때 불이 붙는 온도구요 발화점은 불꽃이 없어도 일정온도에 불이 붙는 온도를 뜻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경유의 경우 발화점이 상대적으로 휘발유보다 낮아서 자연발화시킨다라고 생각하시면 되겠네요
  • 레벨 중위 2 ssonic 06/21 15:46 답글 신고
    후라이팬위의 기름을 생각하시면 될듯...
    휘발유는 뜨거운 후라이팬위에서 불이 붙지않지만 조그만 불꽃만 주어지면 발화~~
    반대로 경유는 불꽃으로 불이 붙지않고 후라이팬이 뜨거우면 발화~~
  • 레벨 대위 3 쥐박멸자 06/21 16:06 답글 신고
    점화플러그가 없으므로 디젤엔진이지요.
    점화플러그가 있으면 디젤엔진 아니죠.
    디젤엔진은 압축비가 커므로 공기가 압축되면서 엄청 뜨거워지는데 그 압축된 뜨거운 공기에 연료를 쏴주니 폭발하지요.
    그러니 연소효율이 높고 폭발력이 강해 토크가 높아 연비가 좋아지고 힘도 세지는 겁니다.
  • 레벨 중장 자동차공학생 06/21 18:08 답글 신고
    사이클에는 3가지가 있습니다. 오토사이클(가솔린엔진), 디젤사이클(디젤엔진), 사바테사이클(이론상에만 있습니다.)
    일단 연료의 인화점,발화점 부터 알아야됩니다. 인화점이란?: 연료가 연소될 수 있는 최저 온도이고요 발화점이란?: 연소가 스스로 연소되는 온도입니다.
    휘발유 인화점이 디젤연료 에 비해 인화점이 낮아서(디젤연료 인화점 섭씨 40도이상)... 연료가 빨리 연소 됩니다. 그래서 일반 휘발유차량들은 공기+연료를 실린더혼합기에 같이 넣어서 압축을 시킨뒤에 점화플러그로 12v를 줘서 연소를 시킵니다. 반대로 디젤엔진은 공기를 압축시키면 공기온도가 올라가면 경유를 분사시켜 자기착화를 만들어냅니다. *공기의 온도가 높으면 자연발화가 되므로 가솔린엔진의 경우 압축비를 높였을때 노킹이 발생할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결론은 디젤은 저RPM 고토크, 가솔린엔진은 고RPM 저토크 입니다.

덧글입력

글쓰기
검색 맨위로 내가쓴글/댓글보기
공지사항
t서비스전체보기
사이버매장
국산차매장
수입차매장
튜닝카매장
승용차매장
스포츠카매장
RV/SUV매장
밴/승합차매장
오토갤러리매장
국산중고차
전체차량
인기차량
확인차량
특수/특장차
국산차매장
중고차시세
차종별검색
수입중고차
전체차량
인기차량
확인차량
특수/특장차
수입차매장
중고차시세
차종별검색
내차팔기
사이버매물등록
국산차등록
수입차등록
매물등록권 구입
게시판
베스트글
자유게시판
보배드림 이야기
시승기
자료실
내차사진
자동차동영상
자동차사진/동영상
레이싱모델
주요서비스
오토바이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