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게시물을 뉴스나 다른 곳에서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보배드림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글쓰기 수정 삭제 목록
  • 댓글 (23) |
  • 내 댓글 보기 |
  • 레벨 원수 6500rpm 11/28 13:21 답글 신고
    아주 비싼 서스펜션을 쓰면 승차감도 좋고 코너링도 좋고

    그렇다더군요. ㅎㅎ
  • 레벨 중사 2 똥차탄다 11/28 13:49 답글 신고
    에어서스와 가변서스 두가지가 통합제어가 되어서 그렇습니다.
    덕분에 에어쇼바 터지면 수리비 개비싸죠
  • 레벨 대령 1 SHamrock 11/28 14:09 답글 신고
    앞에 고리는 견인고리입니다. 외제차나 국산고급차량들 헤드라이트밑 범퍼쪽에보시면 사각형으로 견인고리 박는곳이 있습니다.
    외제차의경우 트렁크아래쪽 공구함에 견인고리도 따로 있는데 위급상황시에 나사식으로 돌려서 박아넣습니다.
    근데 이게 차대에 직접나사를 박아서 장착해야하는데 익스테리어용으로 국산차보면 범퍼에 그냥 양면테이프로 붙인차량들도 꽤 많아서 손으로 당기면 떨어짐ㅋㅋ
    도난순위 1위^^
  • 레벨 하사 3 rhddb 11/28 19:18 답글 신고
    글쓴이가 물어본건 견인고리가 아닙니다.

    프론트 에어댐과 휀더를 연결한 고리입니다.

    마감과 볼트체결부위가 순정범퍼처럼 동일하지 않기때문에 처짐현상을

    조금이라도 방지하기 위함이 목적입니다.
    볼트체결을 따로 하지 않고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쓸데없이 익스테리어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레벨 병장 적토막 11/28 19:48 답글 신고
    rhddb님 답변감사합니다^^ 궁금증이 풀렸어요~
  • 레벨 중사 2 NA슈퍼세븐 11/28 14:26 답글 신고
    고급차의 서스펜션은 통합 능동형 에어서스펜션 입니다.
    벤츠나 아우디, 비엠같은경우 스프링과 서스에 실리는 무게배분을 1/100초 단위로 컴퓨터가 제어합니다.
    큰 바운싱에는 부드럽게 반응하고 바로 자세를 잡아주게 되죠..
    아무리 비싸고 좋은 애프터마켓용 서스를 구매해도 따라잡을수 없는 이유입니다.
  • 레벨 대령 2 Tuscay 11/28 15:00 답글 신고
    고가의 서프펜션 작업을 하시면... 두가지다 충족이 될꺼구요
    2번째는 에어댐 보안용 고리같은데요? 음식물통에 있는거 처럼 생긴거 말하는거죠?
  • 레벨 중사 1 리밑 11/28 15:24 답글 신고
    승차감과 핸들링 두마리의 토끼를 잡고, 고속에서 다운포스되는 안정감을 느끼게 하는것이 좋은 차들의 장점이죠.
    요건 차체 유연성+강성, 무게배분, 나사를 포함한 모든 부품들의 구조와 배치, 언더커버의 차이 등등... 차 자체에서 가장 큰 차이가 벌어집니다.

    그다음 쇼바와 스프링 타이어죠.
    차대 보강을 엄청나게 한다면 모를까... 일체형 서스교환이나 좋은 타이어를 사용한다고 종합적인 차의 성능이 크게 달라지지는 않습니다.
    물론 일체형서스를 하면 롤링이 줄고 좋은 ps2나 re050같은 타이어 끼우면 접지력은 좋아지겠죠. 하지만 고속에 올라가거나 고속코너 돌려보면 여전히 불안합니다.

    제 지인이 예전에 XD레이싱 수동 풀 흡배기에 빌스테인 일체형 18인치 ps2꼽고 다녔는데요. 시내에서는 날렵하게 정말 잘 움직입니다. 그러나 고속에서 순정 골프 2.0 가솔린과 달려보면 고속 코너에서 불안해서 못 따라갑니다.

    결국 태생은 어쩔 수 없어요.....ㅠ.ㅠ


    물론 공도상에서는 운전자의 담력과 스킬이 가장 중요한거 같습니다 ㅋㅋ
  • 레벨 대위 3 L330TOP 11/28 17:04 답글 신고
    2번째 고리 는 답해드릴수있네요. 일체형 차고 바닥에 붙어다니는 투카 나 그런 차량보시면 아마 그렇게 되있을겁니다. 범퍼의 탈부착이 쉽죠. 예를들면 꼭 저기를 올라가야하는데 범퍼는 닿겠고, 범퍼 없으면 올라가겠다 하면, 때고, 올라가고, 올라가서 붙여놓는식이죠^^
  • 레벨 병장 적토막 11/28 19:48 답글 신고
    L330TOP님 답변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배우고 갑니다~
  • 레벨 하사 2 애플파잇 11/28 17:58 답글 신고
    휠도 크고 사이즈도 큰데 노면타지도 않고 아주 떠다니는듯이 요철을 넘어갑니다.
    서스펜션 덕분인듯싶습니다. 그러나 소모품으로 한대분 쇼바와 펌프갈아주면 차한대값 나오지요 ㅎ
  • 레벨 중령 1 328MT 11/28 18:16 답글 신고
    에어서스나 스프링 같은거 때문에 승차감이 좋다기보다..

    1. 차대가 튼튼(비틀림 강도 높음)
    2. 서스펜션 구조가 독립형으로 더블위시본, 멀티링크라 휠 상하로 움직여도 캠버각 등의 변화가 적음
    3. 링크들이 몽땅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어서 아주 가볍기때문에 노면 추종성이 높아짐..

    간단히 얘기하면 차대로 올라갈 충격을 4바퀴들이 상하로 졸라 빠르게 움직이며 다 흡수 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 놓은거죠
    이런 이유로 아무리 비싼 쇼바나 스프링을 끼워도 안되는 차들은 안됩니다..헛돈 쓰지 마시라는 ㅋ
  • 레벨 중사 2 똥차탄다 11/28 18:41 답글 신고
    에어쇼바 터진거 타보세요 ㅎㅎ 그전이랑 승차감이 똑같은가요 ㅎㅎ
    아는분이 플라잉스퍼 타시는데 관리를 안해서 에어쇼바+가변쇼바 다 터진채로
    걍 타고다니시는데 승차감이 그전이랑 똑같을까요? 많이 다르더군요.

    물론 차체가 튼튼하고 서스 구조등에 따른 차이도 있겠지만, 7er이나 s클래스 정도
    되면 쇼바가 승차감에 미치는 영향 엄청납니다.
  • 레벨 중령 1 328MT 11/28 18:52 답글 신고
    물론 다르죠.. 마찬가지로 에어쇼바 정상인 차에 엄청 굵은 스테빌라이져 끼워서 토션빔처럼 만들고 링크마다 납덩이 달고 달려 보세요.. 승차감이 똑같을까요? ㅎㅎ
  • 레벨 중사 2 똥차탄다 11/28 18:54 답글 신고
    순정차 얘기하는데 왜 스테빌은 바꾸고 합니까 ㅋㅋ
    어뜨케든 꼬투리 잡아 말씀하시려는거 같은데요, 비교를 하려면 좀 말이 되는
    비교를 하심이 ㅋ

    님이 쇼바가 별 영향 없대서 쇼바 터진차랑 비교해봤냐고 물으니 왠 엉뚱한 소릴ㅋ

    나 : 전자+에어쇼바 때문에 승차감이 좋다
    님 : 쇼바보다는 차체와 서스펜션 구조 등 때문이다.
    나 : 에어쇼바 터진차 타봐라. 승차감이 똑같은가.

    님 : 스테빌라이져 바꾸고 무게 늘려도 승차감이 똑같은가?

    이 대화의 진행이 맞는 걸까요?
  • 레벨 중령 1 328MT 11/28 19:02 답글 신고
    진행이 맞는것 같습니다만ㅋ
    님은 서스펜션 구조가 정상이고 쇼바가 정상적이지 않은 상황에 대해 얘기하셨으니, 쇼바는 정상이지만 서스펜션 구조가 이상한 상황에 대해 얘기해 본겁니다
    이런걸 일일이 설명 해야 하나요?

    애초에 쇼바 터져도 승차감이 같을지 물어본 글이 웃긴것 같은데요 ㅋ
  • 레벨 중사 2 똥차탄다 11/28 19:04 답글 신고
    아놔 진짜 한글을 모르시는듯............

    님이 쇼바가 미치는 영향보다 차체강성+@ 가 더 영향이 크다매요 ㅋㅋㅋㅋ
    님말대로면 에어쇼바가 터져도 승차감 차이가 별로 없어야 되는거 아니에요?

    그런데 왜 승차감 차이가 무지하게 날까요 ㅋㅋ
    에어쇼바 터지면 차체강성이 갑자기 떨어지나 ㅋㅋ

    쇼바 터져도 승차감이 똑같을까 하는 질문을 왜 했을까요?
    그냥 에어쇼바 터져도 승차감이 똑같냐는걸 물어볼라고 했을까요?
    당연히 승차감이 떨어지겠죠? 님은 그 당연한걸 가지고 딴지 거는거에요..
    콕 집어서 말을 해줘야 아시나 ㅋ
  • 레벨 중령 1 328MT 11/28 19:33 답글 신고
    처음부터 쭉 다시 보니 제가 에어서스 역할을 너무 적게 표현한 것이 맞는것 같습니다

    쇼바가 충격흡수에 미치는 역할은 당연히 엄청나게 크지만, 외산 고급승용차에는 고급쇽업소버와 스프링 만으로는 극복할 수 없는 구조적인 차이가 있다는 점을 강조한 글을 쓰다보니 그렇게 됐습니다
    똥차탄다님 기분나쁘셨다면 죄송합니다 ^^
  • 레벨 중사 3 꿀꿀이스머프 11/28 18:55 답글 신고
    비머는 잘 모르겠군요. s클의 경우 구형 550과 신형 550을 몰거나 타는 경우가 간혹 있었는데 글쎄요. 한국사람 입장에서 눈가리고 태우면 그랜저가 승차감이 더 좋다구 할
    껄요? 이것도 취향이지만 국내 차량의 오직 폭신함만을 비교 대상으로 한다면 좋다고 할수는 없죠.
  • 레벨 대령 3 R4Q 11/28 19:43 답글 신고
    오피러스,쏘나타,K7 등의 차가 코너링이 안 좋은건 국산차라서도 아니고 써스때문만도 아니고 그냥 그런거 고려 안한 전륜세단이라서 그런건데 -_-;
  • 레벨 병장 적토막 11/28 19:52 답글 신고
    아.........여러 님들의 전문가적인 답변을 듣고 있자니...더 했갈리네요.......종합해보면............전자제어+에어서스펜션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있을래요~~
  • 레벨 중사 1 리밑 11/28 21:20 답글 신고
    BMW 3시리즈 벤츠 C클래스를 놓고 봅시다.

    독일 럭셔리 엔트리 급들은 전자제어나 에어 서스펜션 안들어가요.

    아반떼는 좀 그렇고 이보다 좀 더 큰 차인 현대의 YF쏘나타나 K5와 비교해보죠.

    이 차들이 3시리즈, c클과 승차감이나 핸들링 안정감이 과연 비교가 될까요? ^^
    심지어 에어서스 들어간 제네시스와 에쿠스와 비교해도 200km이상에서 안정감..
    과연 어떨까요?^^;;




    결국 차체기술력의 영향이 더 크다고 생각합니다.
  • 레벨 병장 보배개드립 11/28 21:30 답글 신고
    못타본 저같은 사람글을 위해서 얼마나 어떻게 자세히 말해주실분은 안계신가여?

덧글입력

글쓰기
검색 맨위로 내가쓴글/댓글보기
공지사항
t서비스전체보기
사이버매장
국산차매장
수입차매장
튜닝카매장
승용차매장
스포츠카매장
RV/SUV매장
밴/승합차매장
오토갤러리매장
국산중고차
전체차량
인기차량
확인차량
특수/특장차
국산차매장
중고차시세
차종별검색
수입중고차
전체차량
인기차량
확인차량
특수/특장차
수입차매장
중고차시세
차종별검색
내차팔기
사이버매물등록
국산차등록
수입차등록
매물등록권 구입
게시판
베스트글
자유게시판
보배드림 이야기
시승기
자료실
내차사진
자동차동영상
자동차사진/동영상
레이싱모델
주요서비스
오토바이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