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자료실 > 유머게시판


게시물을 뉴스나 다른 곳에서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보배드림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글쓰기 수정 삭제 목록
  • 댓글 (8) |
  • 내 댓글 보기 |
  • 레벨 중장 우유맛딸기 20.09.15 16:59 답글 신고
    얼마전 헌혈했는데..
  • 레벨 원수 페라리탐 20.09.15 17:01 답글 신고
  • 레벨 중령 2 소음이대음이 20.09.15 17:07 답글 신고
    헌혈증 1장에 5백원인가? 몇백원 안쳐줘서 안함..내가뽑은만큼 돌려받을 줄알았더니 아님 뽑을때는 초코파이,우유,영화관람권등 주고 내가필요할때는 더럽게 비쌈
  • 레벨 준장 파티지 20.09.15 17:14 답글 신고
    적십자가 더러운짓을 많이하긴 하지만 운송, 보관비용이 있잖아요..ㅡ.,ㅡ;; 내가 줄때 받을때 가격이 다른건 어쩔수없는거고... 애초에 상거래가 아니고 봉사개념으로 하는거죠.
  • 레벨 중위 1 새벽일꾼 20.09.16 04:39 답글 신고
    아직도 이런 유언비어 믿고있고 심지어 이렇게 퍼뜨리는 사람도 많으니 참 걱정입니다.

    혈액가격은 헌혈 이후 수혈이 가능한 혈액제제가 만들어지기까지의 과정에서 들어가는 비용을 계산해서 정부가 혈액수가로 정합니다.
    채혈, 검사, 제제분리, 보관, 공급의 과정에서 헌혈의집임대료, 근무자월급, 혈액검사비용, 고가의 혈액검사장비의 구매유지보수비용, 혈액백-주사기 외 수많은 의료소모품구입, 헌혈홍보, 과자음료수에 기념품까지 다양한 비용이 들어가죠.
    그 모든 과정에서의 비용이 일일이 반영된 것이 혈액의 가격입니다.
    초코파이, 음료수, 영화관람권만 가지고 혈액제제를 뿅하고 만들 수가 없습니다.

    혈액원은 헌혈된 혈액을 수혈가능한 혈액제제로 만들어서 의료기관에 공급하고,
    정부가 정해놓은 혈액수가를 보전받아서 다시 헌혈을 진행하는 비영리기관입니다.

    그렇다고 환자가 수혈비용을 다 부담하는 것도 아닙니다.
    전국민건강보험제도가 있어서 환자는 아주 일부만 부담할 뿐이죠.
    대부분은 건강보험공단을 통해 세금으로 사용되구요.
    액면가만 보면 수혈비용 전체는 비싸다고 하면 비쌀 수 있지만,
    (그마저도 대부분의 의료선진국에 비해 한국의 혈액수가는 50~70% 정도로 낮습니다)
    실제 환자본인부담액은 생각보다 훨씬 낮고 수혈의 다수를 차지하는 중증질환자들은 본인부담률이 5%에 불과합니다.

    한국의 어른들에게는 유독 '피를 공짜로 가져가서 비싸게 판다'는 유언비어로 인한 편견이 깊이 자리잡은 것 같습니다.
    호주, 캐나다 등 헌혈선진국이라고 하는 나라들 중에는 아예 헌혈기념품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나라들도 많습니다.
  • 레벨 상병 지금이제일젊어 20.09.15 17:39 답글 신고
    81번 했는데 100번 채우고 그만하려고...
  • 레벨 중사 1 우쿠렐라 20.09.16 01:06 답글 신고
    병원에서 수혈 할때 한장에 만원 좀 넘어요
  • 레벨 중위 1 새벽일꾼 20.09.16 04:41 답글 신고
    보통 만원 나오는 건 본인부담률 20%인 일반환자의 경우이고
    중증질환자는 본인부담률이 5%여서 그보다 더 싸기도 합니다.
    본인부담률에 따라 본인부담액은 달라지게 되어있습니다.

덧글입력

0/2000

글쓰기
검색 맨위로 내가쓴글/댓글보기
공지사항
t서비스전체보기
사이버매장
국산차매장
수입차매장
튜닝카매장
승용차매장
스포츠카매장
RV/SUV매장
밴/승합차매장
오토갤러리매장
국산중고차
전체차량
인기차량
확인차량
특수/특장차
국산차매장
중고차시세
차종별검색
수입중고차
전체차량
인기차량
확인차량
특수/특장차
수입차매장
중고차시세
차종별검색
내차팔기
사이버매물등록
국산차등록
수입차등록
매물등록권 구입
게시판
베스트글
자유게시판
보배드림 이야기
시승기
자료실
내차사진
자동차동영상
자동차사진/동영상
레이싱모델
주요서비스
오토바이
이벤트